|
시각은 인식론에서 가장 ‘이성적인 감각’으로 큰 이의 없이 수용되고 있다.주변을 둘러보라.청각에
의지했던 청진기는 진단영상의 발달로 자취를 감추고 있다.심장의 박동소리도 정확한 가늠을 위해서는 화면위에 시각자료로
표현된다.촉각적 진단방식인 ‘맥짚기’는 한방병원에서도 진단영상에 밀려났다.대학의 강의실도 선생의 음성보다 파워포인트의 이미지가
점점 지배적인 강의매체로 자리잡고 있다.이제 알고 싶다는 호기심은 보고 싶다는 의지로 수렴되고 있다.
객관주의 저널리즘은 태생부터 보기를 강조했다.시각적 관찰을 우월한 지각의 형식으로 특권화한 실증주의 인식론에 철학적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객관주의 저널리즘에서 가장 우월한 사실 확인의 방식은 현장에서 육안으로 보는 것이다.그래서 ‘발로 뛰는 기자’라는 유구한
캐치프레이즈가 등장하며,현장 스트레이트 기사가 가장 사실성이 높은 기사로 대접받는다.이보다 더 사실성이 높은 것은
현장사진이다.사진이 언어보다 주관성의 개입소지가 적은 매체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이로니컬하게도 사진은 매체 자체가
담보하는 ‘즉물적 사실성’ 이 오히려 현실의 전체상을 왜곡할 소지도 있다.사진은 가장 가시적이고 자극적인 현실을 피사체로
낙점하고,독자들은 이 파편적 사실을 준거로 현실을 추론하기 때문이다.그래서 사진 한 컷의 파편적 사실이 현실의 전체상을
상징적으로 압축할 때 사진은 탁월한 환유의 텍스트가 된다.하지만 그 반대로 현실의 맥락과 동떨어진 파편적 사실을 클로즈업할 때는
현실을 가리는 왜곡의 장막으로 작용한다.
12월5일자 여러 신문에 같은 피사체를 찍은 사진이 일제히 실렸다.가락시장의 배추 장수 할머니와 이명박 대통령이
포옹하는 사진이다.경제난으로 어려움을 겪는 서민들의 목소리를 직접 듣기 위해 대통령의 민생시찰에 동행한 기자들이 찍은
사진이다.할머니는 울고 있고 대통령은 포옹한 채 다독이고 있는 광경이다.
이 사진과 관련된 서울신문 기사의 제목은
“‘장사 너무 안 돼 못 먹고살 정도’ 울먹인 민심에 이 대통령 ‘눈물이 나네’”이다.이명박 대통령이 가락시장을 방문해서
할머니와 포옹한 것은 사진이 웅변하듯 명백한 사실이지만,그건 ‘파편적 사실’일 뿐이다.그리고 이 파편적 사실을 프레임 속에 담아
사진이 궁극적으로 전하는 언어적 메시지는 ‘서민에 관심 많은 자상한 대통령’이라는 것이다.역대 정권 중에서 서민을 위한 정책이
가장 부족한 ‘강부자’ 정권의 수장을 도대체 이런 식으로 부각시킨다는 것이 말이 되는가? 파편적 사실은 맞지만 현실의 전체상에
대해서는 엄청난 왜곡이다.
어쩌면 대통령의 민정시찰이라는 것부터가 시대착오적이다.온갖 정보가 시시각각 보고되는 현대에
도대체 민정시찰이 왜 필요한가? 시장바닥에 나가봐야 서민의 어려움을 아는 사람이라면 애초에 자격이 없는 사람이다.그럼에도 이런
터무니없는 행사가 치러지고 있는 것은 대통령의 일이라면 시시콜콜 보도해야 하는 언론에 보도거리가 되기 때문이다.지금의 민정시찰은
처음부터 언론을 겨냥한 ‘의사이벤트’일 뿐이다.
이렇게 알아서 프레임까지 잡아주니 어느 대통령이 이를 마다하랴.문제의 사진은 파편적 사실의 배후에서 이루어지는 사실 왜곡의 진수를 보여주는 결정판이다.
남재일 세명대 교수